우리 생활을 더 편리하게 만들기 위한
이야기를 써내려갑니다 🚀

최근 글들을 확인해보세요 →

제22회 TOPCIT 성적우수자 후기

개발, 2025.05.05
2024년 하반기, 제22회 TOPCIT에서 성적우수자로 선정됐고 부상으로 CES 2025를 다녀왔습니다.시험 볼 때도 그랬고, 지금도 여전 TOPCIT에 관한 정보가 별로 없어서 시험 준비부터 시험 과정, 시상식이나 CES 이야기까지 한번 풀어보려고 합니다. ❓ TOPCIT정식 명칭은 소프트웨어 역량 검정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서 운영하는 IT 시험입니다. 다른 개발 자격증하고 비슷하게 취득한다고 해서 큰 우대를 받지는 않지만 이후 설명할 부상 때문에 도전해 볼 만 시험입니다. 대학교에서는 졸업 조건으로 TOPCIT 응시가 있기도 합니다. (일부 공공기관이나 군 모집 시 가산점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IT와 조금이라도 들어간 주제는 모두 나옵니다. 글을 쓰는 시점으로 문제 유형이 바뀌..

입금 내역, 누가 누가 확인해주나 - Selenium으로 은행 계좌 크롤링하기

개발/개발 후일담, 2025.03.26
들어가며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티빙 등 OTT 계정을 공유하는 사람이 많습니다.다들 OTT를 사용하는 방식이 다를 텐데요. 저희 OTT 모임 기준으로는 한 명이 계정을 만들고 결제까지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 한 명에 당첨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월정액이기 때문에 한 달마다 OTT 결제가 되고 (4인 요금제라면) 나머지 3명이 저한테 입금을 해주는 방식입니다. 처음이나 계좌 들어가면서 입금 확인하지 한 달만 지나도 누가 입금했는지, 누가 안 했는지 관리하기가 어렵습니다. 다른 사람이 입금했는지 확인할 때도 예전 계좌 내역을 찾아봐야 되는 번거로움이 생깁니다. 이 번거로움,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요? 계좌 내역 확인을 자동화하고 디스코드 봇을 사용해 알림을 전송해 보겠습니다. 🧱 커다란 벽, 은행 계좌 ..

우리 집 현관문을 자동문으로 만들기 - ESP32와 iBeacon을 사용한 구형 도어락 자동화

개발/IoT, 2025.02.01
들어가며요즘 출시하는 도어락을 보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핸드폰을 가져다 대거나, 지문 인식을 하면 열리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보안에는 취약할 수 있지만 그 대가로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기능들입니다.아쉽게도 구형 도어락에는 이런 기능이 없습니다. 다행히도 지금 사용 중인 도어락은 월패드에서 무선으로 열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합니다. 이 기능을 활용해서 자동으로 열리는 현관문을 만든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월패드: 보통 벽면에 붙어있는 작은 모니터 기기로 집 내부 장치, 초인종, 공동 현관문을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습니다.) ⚙️ 구형 도어락을 어떻게 제어할까요?위에서 말한 것처럼 월패드와 도어락이 무선(RF통신 장치)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초인종으로 손님이 오면 월패드에 바깥 화면을 출력하고, ..

iPad 단축어와 pfSense API로 더 편리한 WOL 만들어보기

개발/HomeLab, 2024.12.23
pfSense에는 다른 공유기, 라우터와 마찬가지로 Wake-On-Lan(WOL) 기능을 제공합니다.라우터라는 장비의 특성상 외부망과 연결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WOL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VPN을 사용해 내부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ipTIME 등과 같은 회사는 외부에서도 WOL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 주는 경우도 있는데 pfSense는 별도로 제공해 주는 기능이 없습니다. WOL으로 컴퓨터 켜는 과정을 요약하면,1. VPN으로 내부망 접속하기2. WOL 앱이나 pfSense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가서 WOL 실행하기3. 다시 VPN을 꺼서 내부망에서 나가기이런 번거로운 과정을 WOL 사용할 때마다 반복해야 합니다. iPad의 단축어 기능과 pfSense의 써드파티 API 플러그인을 사용해 ..

웹에서 즐기는 보드게임 만들기

개발/개발 후일담, 2024.10.08
서론개발 소식, 커뮤니티를 보다 보면 재미있는 기술 스택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를 적용할 기회가 적었습니다. 프로덕션 레벨에서는 맘대로 기술 스택을 바꾸거나 적용하기가 어려웠고 그렇다고 이를 시험해 볼 수 있는 장기적인 사이드 프로젝트도 없었습니다. 무언가 내 맘대로 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가 필요했습니다. 마블(Marble)은 웹 기반으로 진행되는 도시건설 보드게임(랜드마크 건설!)입니다. 프로젝트 첫 번째 목표는 '게임이 굴러가게 만들자'가 최우선이고 두 번째는 쿠버네티스, MSA,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등 진짜 관심 있는 개발론을 적용시켜 보는 게 목표입니다.⚙️ 기반 기술스택 정하기 프론트엔드는 React, 백엔드는 NestJS를 사용해서 만들었습니다.또한 프론트엔드 스타일링 도구로 tailwind..

NextJS와 Supabase로 포트폴리오 만들어보기

개발/개발 후일담, 2024.09.16
시작하기 전에,해당 프로젝트 이야기는 처음 개발 시작한 2021년부터 현재(2024년)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서론아마도 3년 전쯤 '그래도 개발자인데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가 있어야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NextJS로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습니다. 기능 추가나 유지보수는 한 적이 많지만 디자인, 레이아웃을 바꾼 적은 없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사이트 디자인도 만져주고 소소한 기능들을 추가해 봤습니다. 사실 개발자라고 해서 꼭 웹 형태로 된 이력서, 포트폴리오가 필요한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pdf와 같은 오리지널 양식이 더 나은 경우도 많았고요. 그래도 이와 관계없이 개발자인데 보여주기용이라도 하나 있으면 괜찮을 거 같아 시작한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 시작프로젝트 시작은 2021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