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생활을 더 편리하게 만들기 위한
이야기를 써내려갑니다 🚀

최근 글들을 확인해보세요 →

Ask 익명질문 개발기

개발/개발 후일담 / 2019.02.15
Typescript + Vue(Nuxt) + Firebase를 이용하여 Ask페이지를 만들어보았습니다.디자인하기 위해 Bulma.io 프레임워크를 사용했습니다. 페이지에서 질문 요청을 날리면 답변을 대기하기까지 기다리는 공간 또는 답변이 완료돼서 질문이 저장될 공간(DB)를 마련해야되는데 Firebase cloudstore 을(를) 이용하였습니다. Bulma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완료하였습니다.Firebase가 server-side, client-side 둘 다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라서 client-side를 server-side로 쓰다보니 삽질을 많이 했었습니다. 페이지에서 질문을 요청하면 HTTP(Rest) API를 통하여 서버로 요청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메인 페이지에서 질문을 클릭하면 상세 페이지로 ..

AirQualityTool 디자인 재작업

개발 / 2019.02.03
2018년 8월에 아두이노를 이용해서 웹에서 집의 온도, 습도, 공기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당시에는 웹디자인을 부트스트랩으로 제작하였으며 각 그래프들을 한 페이지에 표시해 보기 편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프의 가독성을 조금이나마 높이고자 디자인을 변경해보았습니다. 기존에 쓰던 부트스트랩을 안쓰고 Bulma.io를 이용하였습니다.Nuxt.js를 이용하여 프론트엔드를 제작하였으며 Express로 만들어진 백엔드를 JavaScript에서 TypeScript로 변경하였습니다. 본문과 사이드바를 나누어주었습니다.사이드바는 컴포넌트로 분리하고 어느 페이지에 가도 항상 표시되기 때문에 layouts/default.vue에 넣어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본문에 그래프를 넣어 완성하였습니다. 온습도 ..

온습도 및 미세먼지 측정, 시각화 - AirQualityTool

DIY/아두이노 / 2018.04.01
안녕하세요 :D 오랜만에 아두이노(NodeMCU) 프로젝트입니다! 집 안의 온습도 및 미세먼지는 기록하여 DB에 저장 후 그래프를 통해 보여주는 프로젝트입니다. 사용부품 : NodeMCU (CH340), DHT11, Grove DustSensor서버측 사용언어 : Node.js사용 데이터베이스 : MariaDB 제가 쓴 NodeMCU의 경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브레드보드에 들어가는 사이즈가 아니라서저런 방식으로... NodeMCU는 3V 출력만 지원하기 때문에 먼지 센서의 경우 외부전원을 이용해주었습니다. 사진처럼 그래프를 통해 현재 상태를 보여줍니다. GitHub : https://github.com/SkyLightQP/AirQualityTool

자바 java.util.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 오류

개발 / 2018.02.12
java.util.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 오류 java.util.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는 어떤 오류이며 어떻게 해결하는지 써보고자 합니다. 해당 오류는 보통 List를 for문에 넣고 돌리면서 값을 remove() 할 때 발생합니다. 값을 삭제시 데이터가 변하게 되고, 시작할 때 데이터 상태와 달라지게 됩니다. 즉, index 값이 변합니다. 해결방법은 iterator을 이용하여 해결합니다. List list = new ArrayList(); Iterator it = list.iterator(); while (it.hasNext()){ it.remove();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