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생활을 더 편리하게 만들기 위한
이야기를 써내려갑니다 🚀

최근 글들을 확인해보세요 →

AirQualityTool 디자인 재작업

개발, 2019.02.03
2018년 8월에 아두이노를 이용해서 웹에서 집의 온도, 습도, 공기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당시에는 웹디자인을 부트스트랩으로 제작하였으며 각 그래프들을 한 페이지에 표시해 보기 편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프의 가독성을 조금이나마 높이고자 디자인을 변경해보았습니다. 기존에 쓰던 부트스트랩을 안쓰고 Bulma.io를 이용하였습니다.Nuxt.js를 이용하여 프론트엔드를 제작하였으며 Express로 만들어진 백엔드를 JavaScript에서 TypeScript로 변경하였습니다. 본문과 사이드바를 나누어주었습니다.사이드바는 컴포넌트로 분리하고 어느 페이지에 가도 항상 표시되기 때문에 layouts/default.vue에 넣어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본문에 그래프를 넣어 완성하였습니다. 온습도 ..

도커(Docker)가 뭐지?

개발, 2018.11.30
최근 서버컴퓨터 OS를 기존 'Windows Server 2016'에서 'Ubuntu'로 갈아탔습니다.개발 목적에서는 리눅스가 익숙한 점도 있지만, 진짜 이유는 Docker을 쓰기 위함이었죠. 오늘은 Docker가 어떤 것인지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도커는 하나의 서비스가 담긴 컨테이너 단위로 작동되는 가상화 솔루션입니다. 도커가 설치된 곳이라면 컨테이너를 올려 추가적인 개발 환경 구성 없이 실행이 가능합니다.현재는 리눅스에서 크게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윈도우, MacOS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그럼 도커와 일반적인 VM의 차이는? 출처: https://www.docker.com/resources/what-container VM은 Guest OS를 설치하여 그 위에 서비스를 올리는 반면 도커..

MariaDB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localhost' (10061) 해결하기

개발, 2018.05.23
로컬에서 MariaDB(MySQL)를 접속하려고 했더니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localhost' (10061) 오류가 뜨기 시작했다. 구글링을 통해 찾아본 해결방법으로도 해결을 못했고 이상하게도 로컬이 아닌 곳에서는 접속이 잘 됐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본 포트를 바꾼 사람만 이 글을 참고하길..! 기본 포트를 바꿨다면 아래 명령어로 접속해보자. mysql -u -p -port= 계정이 root이고 포트가 1111이라면 mysql -u root -p -port=1111 이렇게 쓰면 되는 것이다. -u 는 계정을 정해주는 옵션이고 -p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겠다는 옵션이다. 이렇게 하니까 정상적으로 연결됐다.

자바 java.util.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 오류

개발, 2018.02.12
java.util.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 오류 java.util.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는 어떤 오류이며 어떻게 해결하는지 써보고자 합니다. 해당 오류는 보통 List를 for문에 넣고 돌리면서 값을 remove() 할 때 발생합니다. 값을 삭제시 데이터가 변하게 되고, 시작할 때 데이터 상태와 달라지게 됩니다. 즉, index 값이 변합니다. 해결방법은 iterator을 이용하여 해결합니다. List list = new ArrayList(); Iterator it = list.iterator(); while (it.hasNext()){ it.remove();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