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D
오늘 포스팅은 "GIT"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이 글에서는 git이라는 이름이 대소문자 상관 없이 쓰이고 깃이라고 불릅니다.)
git의 설치방법가 쓰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깃을 사용하기 전에 설치해봅시다.
깃 다운로드 페이지입니다.
오른쪽 가운데에 있는 다운로드를 통해 다운받아줍시다.
그럼 잠시후 자동으로 설치파일이 받아지고 설치가 진행됩니다.
계속 Next를 눌러 설치를 완료해봅시다.
이렇게 깃 설치는 끝났습니다!
다음은 깃이 언제 쓰이는지 알아봅시다.
깃이 설치되면 이렇게 3가지의 프로그램이 생깁니다.
우선 깃이란 버전 관리를 위해 생겼습니다.
흔히 아시는 GitHub는 이 깃을 호스팅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 깃을 사용할때 위 세가지 프로그램이 쓰입니다.
(CMD 설명은 생략)
Bash와 GUI는 기능의 차이는 크게 없습니다.
Bash는 명령어를 쳐서 작동, GUI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보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GUI란?
Graphical User Interface의 약자로 그래픽을 통해 작업하는 환경을 뜻한다.
이걸 이용해 저번에 올라왔던 빌드툴을 사용할 수도 있죠.
유익하셨다면 댓글, 공감, 공유 한번 씩 부탁드립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http://blog.kgaons.kr/168
반응형
'Development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k 익명질문 개발기 (0) | 2019.02.15 |
---|---|
AirQualityTool 디자인 재작업 (0) | 2019.02.03 |
기록 Node.js - 라우터 (0) | 2017.04.02 |
기록 Node.js - 미들웨어 (0) | 2017.04.02 |
기록 Node.js - 콜백함수 (0) | 2017.04.02 |
Git, 어떻게 쓰는지 알아보고 설치해보자! (0) | 2017.03.28 |